🖍️
gitbook_docs
  • Introduction
  • Machine Learning
    • Recommended Courses
      • For Undergrad Research
      • Math for Machine Learning
    • ML Notes
      • Covariance Correlation
      • Feature Selection
      • Linear Regression
      • Entropy, Cross-Entropy, KL Divergence
      • Bayesian Classifier
        • Terminology Review
        • Bayesian Classifier for Normally Distributed classes
      • Linear Discriminant Analysis
      • Logistic Regression
        • Logistic Regression Math
      • Logistic Regression-MaximumLikelihood
      • SVM
        • SVM concept
        • SVM math
      • Cross Validation
      • Parameter, Density Estimation
        • MAP, MLE
        • Gaussian Mixture Model
      • E-M
      • Density Estimation(non-parametric)
      • Unsupervised Learning
      • Clustering
      • kNN
      • WaveletTransform
      • Decision Tree
    •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Machine Learning
      • Introduction
      • Basics of Data Analysis
      • Probability for Discrete Random Variable
      • Poisson Distribution
      • Chi-Square Distribution
      • P-value and Statistical Hypothesis
      • Power and Sample Size
      • Hypothesis Test Old
      • Hypothesis Test
      • Multi Armed Bandit
      • Bayesian Inference
      • Bayesian Updating with Continuous Priors
      • Discrete Distribution
      • Comparison of Bayesian and frequentist inference
      • Confidence Intervals for Normal Data
      • Frequenist Methods
      •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
      • Confidence Intervals: Three Views
      •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Mean of Non-normal Data
      • Probabilistic Prediction
  • Industrial AI
    • PHM Dataset
    • BearingFault_Journal
      • Support Vector Machine based
      • Autoregressive(AR) model based
      • Envelope Extraction based
      • Wavelet Decomposition based
      • Prediction of RUL with Deep Convolution Nueral Network
      • Prediction of RUL with Information Entropy
      • Feature Model and Feature Selection
    • TempCore Journal
      • Machine learning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s
      • Online predic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hot rolled steel plate using machine learning
      • Prediction and Analysis of Tensile Propertie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Using Artificial Neural
      • Tempcore, new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reinforcing
      • TEMPCORE, the most convenient process to produce low cost high strength rebars from 8 to 75 mm
      •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simulation of structure and tensile properties of Tempcore treated re
    • Notes
  • LiDAR
    • Processing of Point Cloud
    • Intro. 3D Object Detection
    • PointNet
    • PointNet++
    • Frustrum-PointNet
    • VoxelNet
    • Point RCNN
    • PointPillars
    • LaserNet
  • Simulator
    • Simulator List
    • CARLA
    • Airsim
      • Setup
      • Tutorial
        • T#1
        • T#2
        • T#3: Opencv CPP
        • T#4: Opencv Py
        • Untitled
        • T#5: End2End Driving
  • Resources
    • Useful Resources
    • Github
    • Jekyll
  • Reinforcement Learning
    • RL Overview
      • RL Bootcamp
      • MIT Deep RL
    • Textbook
    • Basics
    • Continuous Space RL
  • Unsupervised Learning
    • Introduction
  • Unclassified
    • Ethics
    • Conference Guideline
  • FPGA
    • Untitled
  • Numerical Method
    • NM API reference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Wavelet decomposition of vibrations for detection of bearing-localized defects
  • Introduction
  • 기어 결함 검출을 위한 포락처리와 웨이블릿 변환의 적용
  • Introduction
  • 신호 처리
  • 실험 방법
  • 실험 결과

Was this helpful?

  1. Industrial AI
  2. BearingFault_Journal

Wavelet Decomposition based

PreviousEnvelope Extraction basedNextPrediction of RUL with Deep Convolution Nueral Network

Last updated 3 years ago

Was this helpful?

Wavelet decomposition of vibrations for detection of bearing-localized defects

1996, C. James Li and Jun Ma, NDT&E International

Introduction

  • ringing: 롤러와 결함 사이의 충격 때문에 급격히 증가했다가 내부 댐핑에 의해 exponential envelope을 따라 감쇠됨

Definition and basic properties

  • 임의의 square integrable func. x(t)는 또다른 square integrable func.인 g(t)의 shift 되거나 dilate된 버전으로 나타낼 수 있음

    • where g(t) : analysing wavelet

    • g(t)의 특성

      • g(t)가 squre integrable하다면:

        ∫∣g(t)∣2dt<∞\int {|g\left( t \right)|^2 dt < \infty }∫∣g(t)∣2dt<∞
      • admissibility condition을 만족:

        cg=2π∫∣G(ω)∣2∣ω∣dω<∞c_g = 2\pi \int {{{|G\left( \omega \right)|^2 } \over {|\omega |}}d\omega < \infty }cg​=2π∫∣ω∣∣G(ω)∣2​dω<∞

        이 condition은 g(t)가 freq. 0에서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함

        ∣G(ω)∣2∣ω=0=0\left. {|G\left( \omega \right)|^2 } \right|_{\omega = 0} = 0∣G(ω)∣2​ω=0​=0

        이 성질이 wavelet이 band-pass like spectrum을 가지게 함

      • where G(w) = Fourier transform of g(t), then x(t)는 다음을 만족

        ∫∣x(t)∣2dt<∞\int {|x\left( t \right)|^2 dt < \infty }∫∣x(t)∣2dt<∞
    • synthesis pair

      \eqalign{ & W_x \left( {a,b} \right) = \int {g^{*\left( {a,b} \right)} \left( t \right)x\left( t \right)dt} \cr & x\left( t \right) = {1 \over {c_g }}\int {\int {g^{\left( {a,b} \right)} \left( t \right)W_x \left( {a,b} \right){1 \over {a^2 }}dadb} } \cr}

      (* means complex conjugate)

      • where g^(a,b)(t)가 shift되고 dilate된 wavelet이면

        g(a,b)(t)=1ag(t−ba)(a>0)g^{\left( {a,b} \right)} \left( t \right) = {1 \over {\sqrt a }}g\left( {{{t - b} \over a}} \right)\left( {a > 0} \right)g(a,b)(t)=a​1​g(at−b​)(a>0)
  • 결론: wavelet g(t)는 oscillating하고 short-lasting한다

    • 이유1: admissibility condition 때문에 g(t)는 평균이 0이 됨

    ∫g(t)=0 or G(0)=0\int {g\left( t \right) = 0} \,or\,G\left( 0 \right) = 0∫g(t)=0orG(0)=0
    • 이유2: finite energy condition (= g(t)가 squre integrable)

  • 몇 가지 수학적인 조작(?)으로 wavelet tranform의 물리적 의미를 알 수 있음

    Let h(a)(t)=−1ag∗(−ta)Let\,h^{\left( a \right)} \left( t \right) = - {1 \over {\sqrt a }}g^* \left( { - {t \over a}} \right)Leth(a)(t)=−a​1​g∗(−at​)

    W_x(a,b)가 다음과 같아짐(synthesis pair)

    Wx(a,b)=∫h(a)(t)x(b−t)dtW_x \left( {a,b} \right) = \int {h^{\left( a \right)} \left( t \right)x\left( {b - t} \right)dt}Wx​(a,b)=∫h(a)(t)x(b−t)dt

    W_x는 b에 대한 함수로서 impulse response가 h^(a)(t)이고 input signal이 x(t)인 함수가 된다

Relationship with Fourier transform

  • wavelet transform과 비슷하게 STFT도 time-frequency analysis tool임

    • STFT:

      X(ω,b)=∫x(t)wf(b−f)exp⁡(−jωt)dtX\left( {\omega ,b} \right) = \int {x\left( t \right)w_f \left( {b - f} \right)\exp \left( { - j\omega t} \right)dt}X(ω,b)=∫x(t)wf​(b−f)exp(−jωt)dt

      where w_f(t) is the window func.

  • STFT와 비교하기 위해 g(t)를 modulatde harmonic func.으로 만들면

    g(t)=w(t)exp⁡(jω0t)g\left( t \right) = w\left( t \right)\exp \left( {j\omega _0 t} \right)g(t)=w(t)exp(jω0​t)

    where w(t) = window of finite length characterizing the time domain concentration property

    • 그러면 Wx는 다음과 같아짐

      Wx(a,b)=exp⁡(jω0ab)⋅∫x(t)1aw(t−ba)exp⁡(−jω0at)dtW_x \left( {a,b} \right) = \exp \left( {j{{\omega _0 } \over a}b} \right) \cdot \int {x\left( t \right){1 \over {\sqrt a }}w\left( {{{t - b} \over a}} \right)\exp \left( { - j{{\omega _0 } \over a}t} \right)dt}Wx​(a,b)=exp(jaω0​​b)⋅∫x(t)a​1​w(at−b​)exp(−jaω0​​t)dt

      STFT X(w,b)와 비슷한 모양이 됨

    • STFT는 window size가 고정되어있어서 freq. w를 바꿀 수 없음 -> time and freq. resolution이 고정됨

      그러나 wavelet에서는 a에 의해 윈도우 길이가 정해질 수 있음 ex) 고주파수 성분에서는 윈도우 길이를 줄여서 time domain에서 high resolution을 얻을 수 있음

Construction of the basic wavelet

  • 다음 수식에 정의된 WT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은

    Wx(a,b)=∫g∗(a,b)(t)x(t)dtW_x \left( {a,b} \right) = \int {g^{*\left( {a,b} \right)} \left( t \right)x\left( t \right)dt}Wx​(a,b)=∫g∗(a,b)(t)x(t)dt

    다음 수식에 정의된 g^(a,b)(t)의 complex conjugate의 inner product라고 간주하는 것임

    g(a,b)(t)=1ag(t−ba)   (a>0)g^{\left( {a,b} \right)} \left( t \right) = {1 \over {\sqrt a }}g\left( {{{t - b} \over a}} \right)\,\,\,\left( {a > 0} \right)g(a,b)(t)=a​1​g(at−b​)(a>0)

    -> WT는 신호와 wavelet g 사이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coefficient를 도출함

  • bearing signature는 주기적으로 burst했다가 exponential하게 decay하는 모양이기 때문에 basic wavelet을 다음과 같이 정함

    g(t)=exp⁡(−σt)sin⁡(ω0t)g\left( t \right) = \exp \left( { - \sigma t} \right)\sin \left( {\omega _0 t} \right)g(t)=exp(−σt)sin(ω0​t)

Bearing defect detection

Defect detection scheme

  • periodic structural ringing이 일어났음

    • 베어링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서 각각 다른 dilation에서 WT를 해보고 특성의 변화를 관찰해야함(ex. magnitude)

    • 손상 신호의 주기성을 찾는 방법

      • WT의 autocorrelation 계산, 특정 주파수 주변에서의 time lag 찾기

Case Study

outer race에 결함이 생겼을 때에는 육안으로 봐도 확연히 보임, 그러나 roller 결함은 잘 안 보임

outer race와 roller의 defect freq. 계산(Appendix A)

\eqalign{ & f_{or} = {n \over 2}f_r \left[ {1 - {{BD} \over {PD}}\cos \beta } \right] \cr & f_{ir} = {n \over 2}f_r \left[ {1 + {{BD} \over {PD}}\cos \beta } \right] \cr & f_{ro} = {{BD} \over {PD}}f_r \left[ {1 - \left( {{{PD} \over {BD}}} \right)^2 \cos \beta } \right] \cr}

위 공식에 따라 f_or과 f_ro의 defect freq.를 계산함:

\eqalign{ & f_{or} = 6.854f_r \cr & f_{ro} = 6.24f_r \cr}

where f_r = shfat speed of the bearing in Hz

time lag 4.76에서 autocorrelation의 local peak는 약 210Hz(estimated ringing rate f_a) 주기로 ringing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함

table 1, 2에 의하면 f_a는 다음 range에 포함됨

0.9fro<fa<1.1for0.9f_{ro} < f_a < 1.1f_{or}0.9fro​<fa​<1.1for​

f_ro와 f_or이 비슷한 값이기 때문에 결함 위치를 찾는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함

\eqalign{ & if\,f_a \le {{f_{or} + f_{ro} } \over 2},\,say\,roller\,damaged \cr & if\,f_a > {{f_{or} + f_{ro} } \over 2},\,say\,outer - race\,damaged \cr}

기어 결함 검출을 위한 포락처리와 웨이블릿 변환의 적용

2008, 구동식, 이정환, 양보석, 최병근, 대한기계학회

Introduction

  • AE(Acoustic emission) 센서: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

    • 미세한 결함, 소성 변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감지

    • 이전에는 주로 비파괴 검사에 이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상태 감시 분야에도 사용되고 있음

      • 상태 감시 분야에서는 주로 베어링 결함 검출에 사용

      • 베어링 결함 검출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어 결함에도 적용하는 연구 수행

신호 처리

Envelope Analysis

  • 4단계의 과정

    • Band Pass Filtering

      • 기계적 진동 요소와 관련된 신호, 랜덤한 노이즈 제거

      • 베어링 고유 진동수를 포함하는 BPF 영역이 가장 좋지만(임팩트 테스트) 주변의 다른 기계요소들 때문에 어려움

        • 영역을 여러 구간으로 나눠서 처리함

          100 ~ 500 kHz

          500 ~ 750 kHz

          750 ~ 1000 kHz

          1000 ~ 1500 kHz

          1500 ~ 2400 kHz

    • Recification

    • Hilbert Transform

    • Power Spectrum

Wavelet Transform

  • MATLAB toolbox Daubechies 사용

    • 웨이블릿 레벨이 증가할 때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저주파와 고주파로 신호가 나뉨

      ex) 주파수 범위가 100 ~ 500 kHz 라고 한다면

      레벨 1일때 300 ~ 500 kHz

      레벨 2일때 200 ~ 300 kHz

      레벨 1일때 150 ~ 200 kHz

신호 처리 방법

실험 방법

실험 장치

  • 기어박스: oil-bath 윤활 형식

  • 테이퍼 롤러 베어링

    • 내륜 결함 주파수: 300.1 Hz

    • 외륜 결함 주파수: 124.8 Hz

  • 모터 운전 속도: 1500 rpm

  • 피니언 이 수 50개, 기어 이 수 70개

  • 디스크 브레이크로 1.2 kNm부하를 가함

  • 피니언의 Gear Meshing Freq. = 1250Hz = 축의 회전 주파수 * 잇수

실험 과정

  • 정상 피니언 vs 결함 피니언(crack)

  • AE 센서로 데이터 취득: 무부하 상태에서 40분 + 부하 가한 후 45분

실험 결과

  • 사전 분석에서 wavelet level은 4

  • 모든 case에서 운전 주파수/운전 주파수의 조화 성분이 나타남

  • 정상 피니언

    • case 1

      GMF 성분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

    • case 2~5

      (GMF 성분이 약간 나타나는듯함)

  • 결함 피니언

    • 무부하

      • GMF(1250 Hz)근처와 그의 조화 성분이 정상 피니언에 비해 높음

    • 부하(1.2kNm)

      • 운전 주파수와 조화 성분들은 GMF에 비해 많이 줄어듦

      • GMF와 조화 성분은 높은 진폭

      • BPF 500~750 kHz 영역

      • 필터링된 신호를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결함 성분을 더욱 강조시킴